하인츠 홀리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츠 홀리거는 스위스 출신의 오보이스트, 작곡가, 지휘자이다. 1959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오보에 부문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루치아노 베리오, 엘리엇 카터 등 많은 작곡가들이 그를 위해 작품을 썼다. 홀리거는 프라이부르크 국립 음악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얀 디스마스 젤렌카의 작품을 녹음하여 "젤렌카 르네상스"에 기여했다.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총렬주의 등 현대 음악의 전위적인 기법을 사용했지만, 이후 연주자의 호흡이나 비일상적인 촉감을 추구하는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1991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작곡가 - 요아힘 라프
요아힘 라프는 스위스 출신의 작곡가로,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고 멘델스존의 인정을 받아 작곡 활동을 시작했으며, 낭만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스위스의 작곡가 - 아르튀르 오네게르
아르튀르 오네게르는 프랑스 6인조의 일원으로서 바흐 양식의 대위법, 역동적인 리듬, 풍부한 멜로디, 다채로운 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한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 스위스의 클래식 작곡가 - 프랑크 마르탱
프랑크 마르탱은 스위스 출신의 작곡가로,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발전시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다. - 스위스의 클래식 작곡가 - 아르튀르 오네게르
아르튀르 오네게르는 프랑스 6인조의 일원으로서 바흐 양식의 대위법, 역동적인 리듬, 풍부한 멜로디, 다채로운 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한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 스위스의 지휘자 - 파울 자허
파울 자허는 펠릭스 바인가르트너에게 사사받고 바젤 캄머오케스터 등을 창단했으며, 제약 회사 상속녀와 결혼하여 막대한 부를 바탕으로 작곡가들에게 작품을 위촉하고 파울 자허 재단을 설립한 스위스의 지휘자, 사업가, 문화 후원자이다. - 스위스의 지휘자 - 샤를 뒤투아
스위스 출신 지휘자 샤를 뒤투아는 제네바 국립 음악원 최고상 수상 후 베른 심포니, 몬트리올 심포니 등 유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나, 2017년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있었다.
하인츠 홀리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9년 5월 21일 |
출생지 | 랑엔탈, 스위스 |
직업 | 작곡가, 오보에 연주자, 지휘자 |
학력 | 베른 음악원 |
음악 경력 | |
악기 | 오보에 |
장르 | 클래식 음악 |
2. 생애
홀리거는 스위스 랑엔탈에서 태어났다.[19] 열한 살 때부터 오보에를 연주하기 시작했으며,[18] 베른 음악원에서 공부한 후 1959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오보에 부문 1위를 수상했다.[17] 1966년 프라이부르크 국립 음악 대학교에서 교직을 시작했다.
세계적인 오보이스트로 명성을 얻었으며, 루치아노 베리오, 엘리엇 카터, 한스 베르너 헨체, 에른스트 크레네크,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프랭크 마틴,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앙리 푸쇠르,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샨도르 베레쉬, 윤이상 등 많은 작곡가들이 그를 위해 작품을 썼다.
1972년 모리스 부르그 (오보에), 클라우스 투네만 (바순), 크리스티안 자코테 (통주 저음) 등과 함께 얀 디스마스 젤렌카의 오보에와 바순을 위한 여섯 개의 트리오 소나타를 녹음했는데, 이는 "젤렌카 르네상스"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하피스트 우르술라 홀리거(1937년–2014년)와 결혼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하인츠 홀리거는 1939년 스위스 랑엔탈에서 태어났다.[19] 11세 때부터 오보에를 배우기 시작했으며,[18] 베른 음악원과 바젤 음악원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다. 스위스에서 에밀 카사노우, 파리 음악원에서 피에르 피에를로에게 오보에를, 이본느 르페뷔르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 베레시 샨도르와 피에르 불레즈에게 작곡을 배웠다.[17]2. 2. 경력
오보에 연주자이자 작곡가, 지휘자로 활동하며, 폴란드 등 동유럽 현대 작곡가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소개해 왔다.[2] 1966년부터 독일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음악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91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했다.1959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와 1961년 뮌헨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오보에 부문 1위를 차지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헌정된 오보에 작품도 많다.
바로크 음악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가졌으며, 홀리거 목관 앙상블을 이끌고 이 무지치와 함께 비발디의 오보에 협주곡 전곡을 녹음하는 등 바로크 음악 녹음을 주로 했다. 유럽 실내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쇤베르크 작품집을 녹음하기도 했다. 부인 우르술라 (고인)는 저명한 하프 연주자로, 고악기를 사용한 바로크 음악부터 모던 하프로 연주하는 근현대 음악까지 넓은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었다. 2017년 도쿄 오페라 시티의 동시대 음악 기획 '콤포지엄 2017'에 초청되어, 자작 대작 '스칼다넬리 치클루스'가 다루어졌다.
2023년에는 자작곡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도쿄, 요코하마, 교토에서 오보에 리사이틀을 열었고, 오사카 필하모니 교향악단, 나고야 필하모니 교향악단, 삿포로 교향악단, 미토 실내 관현악단을 지휘하는 등 고령에도 정력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 클리블랜드 관현악단, 로열 콘세르트헤보우 관현악단,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니 관현악단,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2. 3. 한국과의 관계
2017년 도쿄 오페라 시티의 동시대 음악 기획 '콤포지엄 2017'에 초청되어, 자작 대작 '스칼다넬리 치클루스'가 연주되었다.[2] 2023년에는 자작곡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도쿄, 요코하마, 교토에서 오보에 리사이틀을 개최했다.[2]2. 4. 가족
하피스트 우르술라 홀리거(1937년–2014년)와 결혼했다.[1]3. 작품 세계
산도르 베레시와 피에르 불레즈에게 작곡을 배운 하인츠 홀리거는 다양한 장르의 많은 작품을 작곡했으며, 그의 많은 작품이 ECM 레이블에서 녹음되었다.[2] 초기에는 피에르 불레즈의 영향을 받아 전위적인 작품을 썼으나, 점차 연주자의 호흡, 비일상적인 촉감 추구 등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2] 베케트나 횔덜린의 텍스트를 음악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했다.[2]
오랜 세월에 걸쳐 쓰인 《스카르다넬리-사이클(횔덜린의 시에 의한, 솔로 플루트와 소관현악, 혼성 합창과 테이프를 위한)》(1975-1991)는 홀리거의 음악 미학의 집대성이라고 불린다.[2]
신음악 후원자 파울 자허의 70번째 생일을 위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는 자허의 친구였던 12명의 작곡가에게 자허 헥사코드를 사용하여 첼로 독주곡을 작곡해달라고 요청했다. 홀리거는 샤콘을 기여했다.[2]
1999년 시프 안드라스를 위해 작곡한 《파르티타》는 오랜만의 피아노 독주 작품으로, 여러 양식의 혼합과 함께 피아노 건반을 반만 내리는 등의 "허무한 음색" 사용이 특징적이다.[2]
일본에서는 처음 "불레즈 문하"의 일면만 강조되었지만, 2015년 방일 시 렉처에서 음악의 본질을 베레시에게서 배웠다고 강조하며 그의 작품을 연주(오보에, 지휘)했다.[2] 같은 해 산토리 홀 국제 작곡 위촉 시리즈에서 《덴마리히트-박명 소프라노와 대관현악을 위한 5개의 하이쿠》를 세계 초연했다.[2]
3. 1. 주요 작품
- 《요하네스 1, 32에 관한 시퀀스》(1962) - 하프
- 《마법의 무용수》(1963-1965)
- 《일곱 개의 노래》(1966–1967) - 독주 오보에, 오케스트라, 목소리 및 확성기
- 오보에 독주를 위한 연습곡(1971)
- 현악 사중주 (1973)
- 《호흡의 활/Atembogen》(1974-1975) - 관현악
- 《스카르다넬리-사이클》(1975–1991) - 독주 플루트, 소규모 오케스트라, 테이프 및 혼성 합창
- 《오고 가다 / Va et vient / Kommen und Gehen》(1976/1977) - 사무엘 베케트의 텍스트에 의한 오페라
- 《나는 아니다》(1978–1980) - 소프라노와 테이프를 위한 모노드라마
- 《다성음 연구》(1979) - 오보에 독주
- 《말 없는 노래》(1982–1994)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두 개의 작품 세트
- 《전주곡, 아리오소와 파사칼리아》 - 두 대의 기타 (1985)
- 《새벽의 노래》 - 합창, 오케스트라 및 테이프, 슈만과 횔덜린을 따름 (1987)
- 《왓 웨어》(1988) - 실내 오페라
- 《알브-체르》(1991) - 화자, 성악가 및 실내 앙상블
- 《(S)이라토》 - 오케스트라 (1992–03)
- 《게오르크 트라클의 시에 의한 알토와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다섯 개의 노래》(1992–2006)
- 바이올린 협주곡 "루이 소터에 대한 오마주"(1993–1995)
- 《백설공주》(1998) - 로베르트 발저의 텍스트에 기반한 오페라
- 《파르티타》(1999) - 피아노 사이클
- 《푸나이게》 - 안나 마리아 바허의 시에 의한 12명의 연주자와 함께하는 10개의 노래 (2000/02)
- 《마'무니아》 - 타악기 독주와 기악 5중주 (2002)
- 《로망센드레스》 - 첼로와 피아노 (2003)
- 《인두울렌》 - 클라우스 후버를 위한 카운터테너와 호른을 위한 네 개의 노래 (2004)
- 《토론토-연습》 - 플루트 (알토 플루트), 클라리넷, 바이올린, 하프 및 마림바폰 (2005)
- 《루네아》(2018) - 니콜라우스 레나우의 텍스트에 기반한 오페라
- 《덴마리히트-박명 소프라노와 대관현악을 위한 5개의 하이쿠》
3. 2. 작곡 기법 및 특징
피에르 불레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초기 작품으로는 《마법의 무용수》(1963-1965), 《일곱 개의 노래》(1966-1967) 등이 있으며, 이들은 1960년대 현대 음악의 전위적인 이념을 도입한 수작으로 평가받는다.[2] 그러나 홀리거는 전위 이념의 한계를 일찍이 간파하고, 오보에 독주를 위한 연습곡(1971)이나 현악 사중주곡(1973) 등에서 연주자의 호흡이나 비일상적인 촉감 추구 등 자신만의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2] 관현악을 위한 《호흡의 활/Atembogen》(1974-1975)은 이러한 경향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며, 이후 베케트나 횔덜린의 텍스트를 음악화하는 작업에 몰두했다.[2]1999년에는 시프 안드라스를 위해 《파르티타》를 작곡했는데, 이는 홀리거가 오랜만에 선보이는 피아노 독주곡으로 주목받았다.[2] 이 작품은 여러 양식을 혼합하고 피아노 건반을 반만 내리는 등의 "허무한 음색"을 사용하는 등 특징적인 면모를 보인다.[2]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
---|---|
1987년 | 레오니 소닝 음악상[3] |
1991년 |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4] |
1994년 | 모나코 대공 피에르 음악 작곡상 ((S)irató for)[5] |
2007년 | 취리히 페스티벌상[6] |
2008년 | 라인가우 음악상[7] |
2016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8] |
2017년 | 츠비카우 시 로베르트 슈만 상[9] |
2018년 | 예술 및 과학 공로 훈장[10] |
2022년 | 로베르트 슈만 시와 음악상[11] |
5. 음반
- Jan Dismas Zelenka: Trio Sonatas|얀 디스마스 젤렌카: 트리오 소나타영어 (ECM, 1997)
- Sándor Veress: Passacaglia / Songs / Musica Concertante|샨도르 베레시: 파사칼리아 / 노래 / 무지카 콘체르탄테영어 (ECM, 2000)
- Beiseit / Alb-Chehr|베자이트 / 알프-셰어영어 (ECM, 2000)
- Lieder und Schneewehe|찬가와 애가영어 (ECM, 2003)
이 무지치 합주단과 함께 안토니오 비발디의 오보에 협주곡 전곡 녹음을 했다.
참조
[1]
뉴스
Holliger to debut Soviet oboe work
https://www.newspape[...]
1989-03-16
[2]
웹사이트
eSACHERe
http://www.brikcius.[...]
2011-10-10
[3]
웹사이트
Main prize recipients
https://www.sonningm[...]
2021-03-21
[4]
웹사이트
HauptpreisträgerInnen Archiv
https://www.old.evs-[...]
[5]
웹사이트
Fondation Prince Pierre de Monaco
https://www.fondatio[...]
[6]
Schott Music
Zurich Festival Prize for Heinz Holliger
https://archive.toda[...]
[7]
웹사이트
Rheingau Musik Preis
https://www.rheingau[...]
2024-08-12
[8]
웹사이트
Heinz Robert Holliger
https://www.amacad.o[...]
2024-07-01
[9]
웹사이트
Preisträger
https://www.schumann[...]
[10]
웹사이트
Holliger
http://www.orden-pou[...]
[11]
웹사이트
Komponist Heinz Holliger erhält Schumann-Preis
https://www.deutschl[...]
2021-04-26
[12]
웹사이트
Heinz Holliger
https://www.schott-m[...]
1939-05-21
[13]
웹사이트
Jan Dismas Zelenka: Trio Sonatas
https://ecmrecords.c[...]
2024-04-17
[14]
웹사이트
Sándor Veress: Passacaglia Concertante / Songs Of The Seasons / Musica Concertante
https://ecmrecords.c[...]
2024-03-12
[15]
웹사이트
Heinz Holliger: Beiseit / Alb-Chehr
https://ecmrecords.c[...]
2024-05-29
[16]
웹사이트
Music of Elliott Carter and Isang Yun
https://ecmrecords.c[...]
2024-06-03
[17]
간행물
An interview with Heinz Holliger
https://www.gramopho[...]
1972-11
[18]
뉴스
Heinz Holliger Refutes Thesis That the Oboe Is an Ill Wind
https://www.nytimes.[...]
[19]
웹사이트
Heinz Holliger
https://www.bbc.co.u[...]
BBC
[20]
웹사이트
heinz holliger
https://www.ecmrecor[...]
ecm
2020-02-09
[21]
웹사이트
ハインツ・ホリガー
https://www.nagoya-p[...]
名フィル
2020-02-09
[22]
문서
플루트 奏者 오렐 니콜레도 同時期 教授 務 있다.
[23]
웹사이트
PROF. LUCAS MACIAS NAVARRO
https://www.mh-freib[...]
mh-freiburg.de
2020-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